증여세와 상속세 비교, 차이점은?(세율, 공제금액)
본문 바로가기
경제

증여세와 상속세 비교, 차이점은?(세율, 공제금액)

by Uni-love 2023. 3. 16.

이전에 어린이통장 만들기에 대해 글을 올리면서 증여세에 대해 언급을 했습니다. 그럼 비과세(세액공제)? 증여세? 는 얼마가 될지 궁금해집니다. 이번에는 증여세와 상속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썸네일 증여세와 상속세

반응형

1. 증여세와 상속세란?

재산을 자녀나 지인 등에게 선물하거나 무상으로 양도하는 경우 증여세가 발생하고, 사망 시 남은 재산이 상속되는 경우에는 상속세가 부과됩니다. 

증여세와 상속세는 국세법상의 세금으로, 각각 재산을 양도하거나 상속받을 때 발생합니다. 증여세는 재산을 증여받은 사람이 부담하며, 상속세는 상속을 받은 사람이 부담합니다.

2. 증여세와 상속세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증여세와 상속세는 각각 증여 또는 상속받은 재산의 가액에 일정한 세율을 곱해 계산됩니다. 증여세는 증여가 이루어진 날의 재산가액(시가)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상속세는 사망 당시의 재산가액(시가)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누진공제란?
금액별로 적용 비율을 다르게 적용, 초과금 공제
※적용비율은 증여세와 상속세의 과세표준에 따라 동일

1억 이하 10% -
5억 이하 20% 1천
10억 이하 30% 6천
30억 이하 40% 1억 6천
30억 초과 50% 4억 6천

 

3. 증여세와 상속세의 과세표준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과세표준 즉, 세율을 적용하게 될 최종금액을 말합니다. 재산을 증여 또는 상속을 받았지만 받은 금액 중에는 받게 된 목적들이 있습니다. 그 목적에 따라 공제를 해 주게 되는데 그것을 제외한 금액이 과세표준이 되는 것입니다.

증여세 과세표준 상속세 과세표준
증여재산 시가액 상속재산 시가액
- 증여공제 - 상속공제
- 생활비, 학자금 등 - 비과세, 채무 등
= 증여금액 = 상속금액

4. 증여세와 상속세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증여공제나 상속공제 같은 공제 제도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증여세는 비과세 되는 기준만 적용이 되어 사실상 세금을 많이 줄이진 못하지만 증여되는 재산의 미래의 가치를 생각한다면 미리 증여하는 것도 세금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입니다. 상속세는 상속인이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일반적인 가정을 이루고 있으면 10억(배우자공제 5억, 일괄공제 5억)까지는 상속세가 없다고 보면 됩니다. 그 외에 세제혜택이 있지만 배우자공제 5억과 일괄공제 5억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증여공제 금액 상속공제 금액 ※일괄공제는
배우자와 자녀가 있을 경우 적용 가능
※배우자 단독은
일괄공제 적용 안됨
※증여공제는 
10년을 기한 적용
배우자 6억 배우자공제 5억
직계존속 5천
(미성년 2천) 일괄공제 5억
친족 외 기타 1천

이상 증여세와 상속세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재산 증여 또는 상속을 받을 경우 세금 문제에 대해 미리 알아두어 대비하는 것도 좋지만 확실한 건 전문가에게 의뢰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인 것을 알아 두셨으면 합니다.

 

 

 

 

 

반응형

댓글